물량주의, 개발주의가 만연한 현실에서 농업의 가치가 무엇이며 왜 쌀을 지켜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 책. 농경문화의 태동과 역사를 비롯한 농경문화사 전반에 대한 내용, 우리 농업과 우리쌀을 살기기 위한 대안 등을 정리했다.
쌀이 정치적 자치와 문화적 주권을 지킬 수 있게 했던 방법, 이앙농법의 도입과 전개, 아울러 두레공동체에 대한 이야기와 사라져가는 농사풍물에 관한 경험 등을 담았다. 2004년 쌀 협상에 대한 각 당의 입장들을 비판하며 쌀을 지키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했다.
목차
서장 왜 ‘쌀과 민주주의’인가
제1장 우리쌀, 어찌할 것인가
쌀과 우리 공동체
우리에게 쌀은 무엇인가/쌀이 남아돈다?/쌀과 민주주의/소농과 민주주의/다국적기업의 가축이 되는 사람들
쌀과 소농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
보신 유기농주의의 극복/소비조합주의의 극복/선언적 도농공동체에서 실제적 도농두레로
제2장 우리쌀, 우리가 지켜야 한다
농정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
우리 농정의 비판적 회고/16대 대선과 각 후보의 농정공약/2004년 쌀 협상에 대한 입장들/시늉뿐인 논 직불제 공약/쌀값 하락 구조화하는 쌀 소득보전 직불제
쌀, 어떻게 지킬 것인가
농업예산 확대―농업기구 구조조정부터/천덕꾸러기 농림부서/농촌 의료문제―의약분업 재검토하라/농민 자녀교육 문제/대학입시 지역할당제와 제비뽑기
제3장 우리쌀이 우리 문화다
쌀의 문화사
농사는 여자들이 처음 시작했다/노예를 부릴 것이냐, 스스로 노예가 될 것이냐/쌀도 화경작물이었다/화경농법의 한계/전통농의 경종법에는 어떤 것이 있었나
이앙농법의 도입과 그 전개
전통사회의 수리시설과 수전 개간/수전 개간의 동인과 주체/금지된 이앙농/이앙농의 정착과 확대 동인/이앙농의 확대와 정착의 주체
이앙농이 남긴 것들
영고에서 연등회와 팔관회까지/향도와 두레공동체/이앙농법과 두레/이앙농―인류가 찾아낸 기적의 농법
사라져가는 농사풍물
보리문둥이의 유래/보리농사 3천년이 사라져간다/사라져버린 농사말